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일본어 능력시험이란? 과목, 급수, 성적 발표 등 / JLPT와 JPT 차이

by Minkyeong 민경 2022. 8. 23.

일본어능력시험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JLPT'라고 불리는 일본어 능력 시험에 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앞으로 제가 올릴 JLPT 관련 글은 몇 주 만에, 몇 달 만에 자격증 따는 방법과 같은 이야기는 아닙니다. 특히나 언어 공부를 할 때는 사람마다 속도도 다르고 잘하는 부분도 달라서 '누구는 얼마 만에 얼마만큼 했다더라'라는 말에 너무 신경을 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회화나 듣기에 강하다고 해서 JLPT 시험에서 고득점을 얻는 것도 아니고 반대로 JLPT 시험에서 고득점을 얻었다고 해서 일본어를 반드시 잘하는 건 아니기 때문입니다. JLPT를 공부하는 방법은 사람마다 각양각색이겠지만, 앞으로 올릴 글에서는 제가 일본어를 공부하고 일본에 살면서 직접 일본어를 쓰고, 시험을 보고, 문제 유형들을 보며 느낀 JLPT 팁에 관한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합니다.

 

JLPT 일본어 능력시험이란 무엇인가? JPT와 차이점

JLPT를 처음 들어보신 분들도 있을 겁니다. 영어에는 토익, 토플이 있고 중국어에는 HSK와 같은 언어 능력 시험이 있듯이 JLPT는 일본어 능력시험을 말합니다. 영어로는 'Japanese-Language Proficiency Test', 일본어로는 「日本語能力試験」라고 씁니다.

 

JLPT 이외에도 일본어 능력 시험에는 JPT라는 시험이 있습니다. 간단하게 비교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내용 JLPT JPT
급수 있음 없음
합격/불합격 있음 없음(점수제)
시험 일정 연 2회 상시 시행
주최 공적 기관 사설 기관

JLPT에는 급수가 있고 JPT는 토익처럼 점수제이기 때문에 합격/불합격이 없습니다. JLPT는 시험 일정이 연 2회로 적은 편인 반면 JPT는 한 달에 한 번 정도로 시험 일정이 많습니다. JLPT는 매년 2회, 7월과 12월 첫째 주 일요일에 실시됩니다. 시험 접수 기간이 약 3개월 전으로 빠르기 때문에 접수 날짜를 놓쳐서 일 년에 두 번뿐인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JLPT는 해외 응시가 가능합니다. 저 또한 일본에서 취업 전 업데이트를 위해 응시한 경험이 있습니다.

과목과 급수

과락별 과목으로 나누자면 크게 '①언어/지식(문자/어휘/문법) ②독해 ③청해'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문제집을 구매할 때는 '①문자/어휘(한자가 포함되어 있거나 따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음) ②문법 ③독해 ④청해' 로 세분화되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참고로 쓰기와 말하기 과목은 없습니다.

 

N5, N4, N3의 경우 '①문자/어휘, ②문법/독해, ③독해/청해' 세 파트로 되어 있습니다. N2, N1은 중간에 쉬는 시간없이 ①문자/어휘/문법/독해를 한 번에 풀어야 합니다. 그래서 초반에 언어/지식(문자/어휘/문법) 파트에서 시간을 많이 사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필요한 독해 문제를 풀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시간 배분을 잘하는 것이 좋습니다.

 

JLPT의 급수는 N1, N2, N3, N4, N5로 다섯 개의 급수가 있으며 가장 높은 급수는 N1입니다. 신시험으로 개정이 되면서 1~4급이었던 JLPT가 5개의 급수로 바뀌었습니다. 개정된 신시험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측정하기 때문에 별도의 출제 범위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N1~N5가 전부 같은 시간에 시작하기 때문에 복수 급수 동시 수험은 불가능합니다. 다만 복수 급수를 신청하고 시험 당일에 한 레벨만을 응시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대신 수험료는 신청한 급수만큼 발생합니다. JLPT는 연2회 실시로 한번 떨어지면 반년을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미리 예상 문제를 풀어보고 자신의 실력을 테스트한 뒤 신중하게 실력에 맞는 급수를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가 느낀 체감상 N3에서 N2로 넘어가는 건 그렇게 어렵지 않았지만 N2에서 N1으로 넘어가는 것은 큰 난이도 차이를 느꼈습니다.)

 

시험 당일 준비물과 성적 발표

성적 발표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는 인터넷과 우편 발송의 시기가 다릅니다. 

시기 홈페이지 우편
1회차 (7월) 8월 말~9월 초 9월 말~10월 초
2회차 (12월) 1월 말~2월 초 2월 말~3월 초

성적이 빠르게 필요하다면 JLPT 홈페이지에 가입 후에 인터넷 접수를 한 뒤 홈페이지에서 성적 확인을 하시면 됩니다. 합격점은 일본에서 발표하며 과목별 과락이 존재합니다. 한 과목이라도 합격점이 도달하지 못한다면 총점이 높아도 불합격이 됩니다. 따라서 한 과목만 파서 총점을 높여 합격하려는 방법은 좋지 않습니다.

 

시험 당일 준비물은 규정 신분증, 수험표,연필 또는 샤프, 지우개입니다. JLPT는 답안 마킹을 연필 또는 샤프로 하기 때문에 지우개와 함께 꼭 챙겨야 합니다. 휴대전화 소지는 부정행위에 해당하지 않으나 시험 도중 진동이나 벨소리가 울리는 경우는 부정행위이기 때문에 반드시 전원을 끄는 것이 좋습니다.

JLPT와 JPT중 어떤 것을 먼저 보는 것이 좋을까요?

JLPT를 먼저 공부하고 합격한 뒤에 JPT를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JLPT는 다른 일본어 시험과는 달리 일본 공적 기관이 주최하고 있어 일본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유일한 시험이기 때문입니다. 일본 유학이나 취업을 위해서라면 필수로 응시해야 하는 시험입니다.

 

JLPT 합격 인정서에는 유효 기간이 없으나 기관에 따라 최근 성적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으니 성적이 너무 오래되었다면 제출 전에 다시 한번 응시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번 글에서 다루지 않은 더욱 자세한 내용은 JLPT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세요.

 

댓글